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대표적 곤충

by 곤충탐방가 2024. 3. 26.
반응형

쇠똥구리

희귀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대표적인 곤충에 대하여

희귀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곤충 종은 서식지 손실, 오염, 기후 변화, 침입종 등 생존에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다음은 전 세계의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곤충종의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카너블루나비(Lycaeides melissa samuelis): 카너블루나비는 북미가 우너산지인 작은 나비 종입니다. 참나무 사바나와 소나무 불모의 서식지 파괴로 인한 서식지 손실과 단편화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보존 노력에는 서식지 복원 및 관리, 포획 번식, 재도입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로드하우섬대벌레(Drycocelus australis): '나무랍스터'라고도 알려진 로드하우섬대벌레는 호주 해안에 위치한 로드하우섬 고유의 크고 날지 못하는 곤충입니다. 인근 암석 더미인 볼 피라미드에서 소수의 개체군이 재발견될 때까지 수년동안 멸정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이 종은 유입된 쥐와 기타 침입종에 의한 서식지 파괴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3. 마이애미 호랑이 딱정벌레(Cicindelidia flofidana): 마이애미 호랑이 딱정벌레는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견되는 희귀종이자 멸종 위기에 처한 호랑이 딱정벌레입니다. 도시 개발, 농업, 모래 채굴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과 황폐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곤충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보존 노력에는 서식지 보호, 복원 및 모니터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샤우스제비꼬리나비(Papilio aristodemus): 샤우스제비꼬리나비는 미국 남부 플로리다와 바하마에서 발견되는 멸종 위기종입니다. 서식지 손실, 살충제 사용, 허리케인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보존 노력에는 서식지 복원, 포획번식, 개체군 모니터링이 포함됩니다.

이는 생존 위협에 직면한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전 세계의 곤충 종의 몇 가지 예를 알아보았습니다. 서식지 보호 및 복원, 포획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 시행을 목표로 하는 보존 노력은 멸종을 방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 멸종 위기 곤충에 대하여

한국에서도 전세계의 곤충이 서식지 손실, 오염, 기후 변화 및 기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멸종의 위협에 처해있는 상황이 예외는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전에 문제화되고 있는 대표적 곤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머리줄나비(Kaniska canace sikkima): 이 나비 종은 한국과 동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숲이 우거진 지역에 서식하며 삼림 벌채와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손실과 황폐화로 인해 위협받고 있습니다.

2. 한국 고추잠자리(Sympetrum darwinianum): 이 잠자리종은 우리가 어린 시절 흔히 볼 수 있었던 꼬리가 붉은 잠자리과로 한국과 동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잠자리는 수질과 서식지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오염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잠자리 개체수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3. 한국 딱정벌레(Hygrotus cernyl): 딱정벌레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수생 딱정벌레과 입니다. 일부종은 수질 변화와 서식지 악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존 노력에는 담수 서식지 보호와 수질 개선 조치 시행이 필요합니다.

4. 쇠똥구리(Dung beetle): 제주도와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쇠똥구리 개체수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이 있지만 이러한 곤충을 보존하고 보호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보존 조치로 서식지 복원, 보호 지역 조성, 지속 가능한 토지 관리 관행구현이 있으며 쇠똥구리를 잡아오면 상금을 주는 파격적인 캠페인도 벌였습니다. 

5.장수하늘소(Callipogon relictus) : 장수하늘소는 개체군 규모가 매우 적어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2년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1급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2006년 경기 포천시의 광릉숲에서 살아 있는 암컷 장수하늘소 1마리가 관측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광릉숲에서는 장수하늘소의 생태학적 특성과 복원연구를 진행하고 매년 사육 개체를 광릉숲에 방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습니다.

 

반응형